회의 후 회고는 남기고 계신가요? GPT로 개선안까지 자동 요약하는 법

<div style="background:#fffdf7; font-family:'Noto Sans KR'; padding:20px;">
  <h1 class="title">회의 후 회고는 남기고 계신가요? GPT로 개선안까지 자동 요약하는 법</h1>
  <p class="paragraph">안녕하세요 😊  
  프로젝트가 끝나도 다음 프로젝트가 또 기다리고 있는 현실.  
  회고는 자주 미뤄지고, 개선안은 구두로 흘러가 버리기 십상이죠.<br><br>
  오늘은 **회의록 또는 회고 텍스트를 기반으로 GPT가 개선안을 자동 추출하고,  
  Notion에 기록까지 완성해주는 자동화 시나리오**를 단계별로 소개합니다.  
  회고도 자동화되면 ‘되풀이 실수’를 막을 수 있습니다.</p>

  <div class="toc-box">
    <h2>📌 목차</h2>
    <ul>
      <li><a href="#step1">STEP1. 회의 또는 회고 텍스트 수집</a></li>
      <li><a href="#step2">STEP2. GPT로 회고 요약 및 개선 포인트 추출</a></li>
      <li><a href="#step3">STEP3. Make 자동화 시나리오 설정</a></li>
      <li><a href="#step4">STEP4. Notion 회고 보드 자동 기록</a></li>
      <li><a href="#step5">STEP5. 개선안 태그별 분류 및 주간 리포트 연동</a></li>
    </ul>
  </div>

  <h2 id="step1" class="section-title">STEP1. 회의 또는 회고 텍스트 수집</h2>
  <p class="paragraph">
    회고는 보통 회의록이나 텍스트 형태로 남습니다.<br><br>
    ✔ 수집 예시:<br>
    - 회고 회의 녹취 텍스트 (Otter.ai, Notta 활용)  
    - Google Docs / Notion에 직접 작성된 회고  
    - 팀원별 익명 회고 입력 폼 응답<br><br>
    💡 수집된 데이터는 Make 또는 Zapier를 통해 자동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해두면 가장 효율적입니다.
  </p>

  <h2 id="step2" class="section-title">STEP2. GPT로 회고 요약 및 개선 포인트 추출</h2>
  <p class="paragraph">
    ChatGPT는 회고 내용을 분석해 긍정 포인트와 아쉬운 점, 개선안을 분리해줄 수 있습니다.<br><br>
    ✔ 추천 프롬프트:<br>
    “다음 회고 내용을 기반으로 ① 잘된 점, ② 아쉬운 점, ③ 개선 제안 3가지를 요약해줘. 문장은 간결하게 정리해줘.”<br><br>
    ✔ 결과 예시:<br>
    - 잘된 점: 일정 준수, 팀워크 향상  
    - 아쉬운 점: 테스트 기간 부족  
    - 개선안: QA 기간을 2일 더 확보할 것
  </p>

  <h2 id="step3" class="section-title">STEP3. Make 자동화 시나리오 설정</h2>
  <p class="paragraph">
    자동화를 위해 Make에서 회고 텍스트 → 요약 → DB 저장까지 연결합니다.<br><br>
    ✔ 플로우:<br>
    - 트리거: Google Form 응답 수집 / Notion 새 회고 입력  
    - 액션1: OpenAI API 호출  
    - 액션2: JSON 결과 → Notion DB 필드로 분리 저장<br><br>
    🎯 이 단계만 구성해도 회고 기록이 ‘모이는 팀’이 됩니다.
  </p>

  <h2 id="step4" class="section-title">STEP4. Notion 회고 보드 자동 기록</h2>
  <p class="paragraph">
    회고 결과는 Notion DB에 항목별로 자동 정리됩니다.<br><br>
    ✔ 필드 구성:<br>
    - 회고 제목 (ex. 2025.05.20 Sprint 07 회고)  
    - 작성자 (People)  
    - 잘된 점 (Text)  
    - 아쉬운 점 (Text)  
    - 개선안 (Tag or Multi-line Text)  
    - 상태 (검토 전 / 반영 완료 등)<br><br>
    💡 필터 기능을 활용해 ‘팀원별 회고 보기’, ‘프로젝트별 개선 히스토리’도 추적 가능합니다.
  </p>

  <h2 id="step5" class="section-title">STEP5. 개선안 태그별 분류 및 주간 리포트 연동</h2>
  <p class="paragraph">
    자동화된 회고는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.<br><br>
    ✔ 연동 활용:<br>
    - 개선안 태그(UX, 일정관리, 협업 등)별로 분류  
    - 주간 리포트에 자동 포함되도록 GPT 출력 연결  
    - 월말 회고 통계 자동 수집<br><br>
    🎯 회고가 기록되는 조직은 반복 실수를 줄이고, 학습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  </p>

  <div class="faq">
    <h2 class="section-title">🙋‍♀️ 자주 묻는 질문 (FAQ)</h2>
    <p><strong>Q1. 회고 내용이 너무 자유롭고 구조가 없어요. 그래도 가능한가요?</strong><br>
    A1. 가능합니다. GPT는 비정형 텍스트 속에서도 패턴을 추출해 구조화할 수 있습니다. 단, 회고 프롬프트를 미리 가이드하면 더 정확해집니다.</p>

    <p><strong>Q2. 회고는 익명으로 받는 게 좋은데 자동화가 가능한가요?</strong><br>
    A2. Google Form + 익명 설정으로 수집 후 자동 연동하면 됩니다. 작성자 필드는 비워두고 ‘주제별 집계’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.</p>
  </div>

  <div class="paragraph">
    <p>회고는 ‘기록’이 아니라 ‘진화’를 위한 도구입니다.<br>
    오늘 소개한 자동화 시나리오로  
    팀의 회고 문화를 정착시키고, 개선안을 실행까지 연결해보세요.  
    회고가 쌓이면 팀의 방향도 선명해집니다.</p>
  </div>

  <div class="cta-box" style="border:1px solid #ddd; padding:20px; border-radius:10px; margin-top:20px;">
    <p><strong>🎯 회고 자동화 시나리오 템플릿 다운로드</strong><br>아래 버튼을 눌러 회고 수집 → 요약 → 저장 자동화를 위한 예제 및 GPT 프롬프트 세트를 받아보세요.</p>
    <a href="/entry/회고자동화시나리오" class="cta-button" style="display:inline-block; background:#222; color:#fff; padding:10px 20px; border-radius:5px; text-decoration:none;">📁 템플릿 받기</a>
  </div>

  <div style="margin-top:30px;">
    <h3>📌 관련글</h3>
    <ul>
      <li><a href="/entry/스프린트일정자동화">✔ 스프린트 일정 자동화</a></li>
      <li><a href="/entry/기획서자동화-시나리오">✔ 기획서 초안 자동 생성</a></li>
    </ul>
  </div>

  <div style="margin-top:20px;">
    <strong>#회고자동화 #GPT개선안정리 #Make워크플로우 #Notion보드자동화</strong>
  </div>
</div>
다음 이전